본문 바로가기
다이어트 및 영양 정보

콜라겐 효능과 흡수율 높이는 법 - 콜라겐이 많은 식품 및 식단 가이드

by 슈가플럼 2025. 3. 10.
반응형

콜라겐은 피부 탄력, 관절 건강, 모발 강화에 필수적인 단백질입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콜라겐 합성이 줄어들어 피부 탄력이 저하되고 관절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콜라겐의 효능과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 효과적인 보충제 선택법, 콜라겐이 풍부한 음식, 1일 식단

1. 콜라겐이란?

피부 탄력과 건강을 위한 콜라겐 효과

콜라겐은 피부, 혈관, 뼈, 치아, 근육 등 모든 결합조직의 주된 단백질로서 또 다른 장기에도 세포간 메트릭스로서 존재한다. 포유동물의 경우, 전체 단백질의 1/3이 콜라겐이라고 합니다.

2. 콜라겐의 주요 효능

효능 설명 연구 결과
피부 탄력 & 주름 예방 피부 진피층의 주성분으로, 피부 보습과 탄력을 유지하고 주름 생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줌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2,500~5,000mg)를 8주간 섭취한 그룹에서 피부 보습이 20% 증가, 주름 감소
관절 건강 & 연골 보호 연골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연골 손상 완화에 도움을 줌 하루 10,000mg의 콜라겐을 6개월간 섭취한 그룹에서 관절 통증 감소율이 30% 증가
모발 & 손톱 강화 콜라겐이 케라틴 합성을 촉진하여 건강한 모발과 손톱 성장에 기여 연구 데이터 없음 (개별 효과 보고됨)
근육 & 혈관 건강 유지 근육 회복을 돕고, 혈관 벽을 튼튼하게 유지하여 심혈관 건강 개선 연구 데이터 없음 (개별 효과 보고됨)

- 피부, 관절 건강에 대한 연구 결과가 가장 많으며, 모발·손톱 및 근육·혈관 건강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

3. 콜라겐 흡수율을 높이는 법

콜라겐은 단순히 많이 먹는다고 해서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 아닙니다. 흡수율이 높은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분자 크기(달톤, Da)가 낮을수록 흡수율 증가

콜라겐은 단백질이므로, 크기가 작을수록 체내에서 더 쉽게 흡수됩니다.

콜라겐 형태 분자 크기 (Da) 흡수율 (%) 특징
일반 콜라겐 300,000Da 이상 5~10% 분자가 커서 흡수 어려움
젤라틴 50,000~100,000Da 20~30% 조리용 젤리(예: 족발, 사골국)
콜라겐 펩타이드 1,000~5,000Da 80~90% 저분자 가수분해로 흡수율 높음
트리펩타이드 콜라겐 300~500Da 95% 이상 가장 흡수율이 높아 프리미엄 보충제에 사용

-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1,000Da 이하)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2) 비타민 C와 함께 섭취하면 합성 촉진

비타민 C는 체내에서 콜라겐 합성을 활성화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소이므로, 콜라겐 보충제와 함께 비타민 C를 섭취하면 합성 효과가 2배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비타민 C가 풍부한 음식: 키위, 오렌지, 레몬, 파프리카, 브로콜리

   (3) 공복에 섭취하면 흡수율 증가

공복 상태에서 섭취하면 위산과 함께 빠르게 분해되면서 흡수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콜라겐이 풍부한 식품 (100g당 함유량 & 활용법 비교)

식품 종류 콜라겐 함유량 (100g당, mg) 활용법
돼지껍데기 3,000~5,000mg 수육, 족발, 구이
뱀장어 껍질 & 살코기 3,000~4,000mg 구이, 장어탕
소 곱창 (대창 포함) 2,000~3,500mg 곱창전골, 구이
미꾸라지 2,000~3,000mg 추어탕, 조림
아귀 껍질 & 아귀 간 2,000~2,500mg 아귀찜, 수프
연어 껍질 2,000~2,500mg 크리스피 구이, 수프
소 수육 (사태, 양지) 1,500~2,500mg 수육, 국밥
돼지 수육 (목살, 앞다리살) 1,500~2,000mg 수육, 찜 요리
도미 껍질 1,800~2,200mg 구이, 찜 요리
방어 껍질 1,500~2,000mg 구이, 젤리
명태(북어) 껍질 1,500~2,000mg 북어국, 찜 요리
돼지 곱창 1,500~2,500mg 곱창전골, 구이
대구 껍질 1,200~1,800mg 수프, 조림
순대 (천엽, 염통 포함) 500~1,500mg 순대국, 볶음

- 흡수율이 높은 식품: 피쉬 콜라겐(보충제) > 뱀장어 > 미꾸라지 > 생선 껍질(연어, 도미 등)
- 수육 & 국물 요리(수프, 전골)로 먹으면 콜라겐 흡수율 증가

 

[돼지고기 부위별 콜라겐 함량 비교 (100g당, mg)]

부위 콜라겐 함유량 (100g당, mg) 특징
돼지껍데기 3,000~5,000mg 콜라겐이 가장 풍부하지만 흡수율이 낮음
족발 2,500~4,000mg 젤라틴 형태로 변환되며, 국물까지 섭취하면 효과적
사태 (다리 부위) 1,800~2,500mg 결합조직이 많아 콜라겐 함량이 높은 편
목살 1,500~2,000mg 근육과 지방이 많고 콜라겐은 중간 수준
삼겹살 1,200~1,800mg 지방 함량이 높지만 콜라겐은 적음
앞다리살 (부채살) 1,000~1,500mg 근육량이 많아 콜라겐 함량이 낮음
안심 & 등심 500~1,000mg 가장 콜라겐이 적은 부위

 

[소고기 부위별 콜라겐 함유량 비교 (100g당, mg)]

부위 콜라겐 함유량 (100g당, mg) 특징
소껍질 4,000~6,000mg 콜라겐이 가장 풍부한 부위지만 일반적으로 소비되지 않음
우족 (소발굽 부위) 3,500~5,000mg 젤라틴 성분이 많아 국물 요리에 적합
사골 (다리뼈 부위) 3,000~4,500mg 오랜 시간 우려내면 국물에 콜라겐이 녹아 나옴
아킬레스건 (힘줄 부위) 3,000~4,500mg 젤라틴 형태로 변환되며, 국물과 함께 섭취 가능
소머리 2,500~3,500mg 수육 형태로 먹으며 콜라겐이 다량 포함됨
소꼬리 2,500~3,500mg 꼬리곰탕으로 활용되며 국물에 콜라겐이 많음
사태 (다리 부위) 1,800~2,500mg 근육과 결합조직이 많아 콜라겐 함량이 높은 편
양지 (가슴 부위) 1,500~2,200mg 국밥, 곰탕 등 국물 요리로 활용
목심 1,000~1,800mg 근육 조직이 많아 콜라겐 함량이 중간 수준
등심, 안심 500~1,200mg 콜라겐 함량이 가장 적은 부위

5. 콜라겐을 효과적으로 섭취하는 방법

  (1) 생선 껍질(연어, 도미, 방어 등) 섭취

 생선 껍질에는 피쉬 콜라겐(해양 콜라겐)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저분자 펩타이드 형태로 가수분해되기 쉬워 흡수율이 높습니다(70~80%). 콜라겐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먹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조리하면 콜라겐이 변성되거나 분해될 수 있으므로, 저온 조리가 유리합니다.

 

① 연어/도미 크리스피 구이 (흡수율 ↑, 고소한 맛)

  1. 연어/도미 껍질을 깨끗이 씻고 물기를 제거합니다.
  2. 올리브오일을 바르고 소금, 후추를 살짝 뿌립니다.
  3. 팬을 중불로 달군 후 껍질이 아래로 가도록 두고 약불중불에서 57분간 천천히 익힙니다.
  4. 껍질이 바삭해지면 뒤집어 1~2분 더 익혀 완성합니다.

② 대구/민어/가자미 껍질 수프 (저온 조리로 콜라겐 유지)

  1. 생선 껍질을 깨끗이 씻고 물을 끓인 후 약불에서 30~40분간 저온으로 우려냅니다.
  2. 콜라겐이 녹아 나오도록 약한 불에서 오래 끓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다진 마늘, 생강, 파 등을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춥니다.

③ 연어/방어 껍질 젤리 (콜라겐 흡수율 극대화!)

  1. 생선 껍질을 깨끗이 씻고 물과 함께 약불에서 1~2시간 천천히 끓입니다.
  2. 체에 걸러 콜라겐이 충분히 우러난 국물만 남깁니다.
  3. 식혀서 냉장고에 넣어두면 자연스럽게 젤라틴 형태로 굳어집니다. : 콜라겐 보존 효과: 젤라틴 형태로 굳어 흡수율이 매우 높음.

Tip : 생선 껍질과 함께 먹으면 좋은 영양소 (흡수율 UP!)

영양소 추천 식품 역할
비타민 C 키위, 오렌지, 레몬, 파프리카 콜라겐 합성 촉진
아연 굴, 닭가슴살, 견과류 콜라겐 분해 방지
구리 해바라기씨, 카카오닙스 콜라겐 생성 도움

 

(2) 수육(사태, 양지, 돼지껍데기)은 저온에서 장시간 조리하여 국물과 함께 섭취!

수육을 만들 때 장시간 삶으면 콜라겐이 국물로 우러나기 때문에, 고기뿐만 아니라 국물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리 방법 콜라겐 변화 흡수율
고기만 섭취  결합조직 속 콜라겐이 일부 남아 있음 30~40%
국물까지 함께 섭취 장시간 삶으며 콜라겐이 국물로 용출됨 50~60%
사골처럼 장시간 우려낸 국물 (6시간 이상 조리) 저분자 젤라틴 형태로 변환되어 흡수율 증가 60~70%

- 수육 국물을 함께 마시면 흡수 가능한 콜라겐 양이 증가합니다.

 

 [수육 국물의 콜라겐 보존을 위한 조리법]

  1. 부드러운 결합조직이 많은 부위를 선택 : 이 부위들은 콜라겐이 풍부하여 국물로 우러나기 쉬움
    •    돼지: 족발, 사태
    •    소: 사태, 양지, 목심, 소머리, 소꼬리 
  2. 장시간 저온 조리 (약불에서 2~4시간 이상 삶기)
    •    고온에서 짧게 조리하면 콜라겐이 충분히 우러나지 않음
    •    최소 2시간 이상 삶아야 콜라겐이 국물로 잘 녹아나옴
  3. 파, 마늘, 양파, 소주를 넣어 잡내 제거
    •    콜라겐 분해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맛과 향을 좋게 만들어 섭취가 용이
  4. 기름을 걷어내고 맑은 국물 섭취
    •    콜라겐은 물에 녹지만 지방과 함께 분리될 수 있음
    •    기름을 걷어낸 후 맑은 국물(젤라틴 성분이 녹아 있는 부분)을 마시는 것이 효과적

6. 콜라겐을 포함한 1일 식단 예시

식사 메뉴 콜라겐 함유량 (mg)
아침 대구 껍질 수프 + 파프리카 샐러드 4,000
점심 연어 껍질 구이 + 키위 5,000
저녁 방어 껍질 젤리 + 오렌지 4,000
간식 콜라겐 펩타이드 보충제 + 오렌지 주스 5,000

- 총 콜라겐 섭취량: 18,000mg → 하루 권장량(5,000~10,000mg) 충족

콜라겐을 꾸준히 섭취하면 건강한 피부와 관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란? 효능, 흡수율, 올바른 복용법 총정리

반응형